기타정보 농촌진흥청, 2025년 연구개발사업 신규 과제 공모
페이지 정보

본문
공모 규모: 12개 사업 131과제, 59,005백만 원
사업명 | 과제수 | 연구비 (백만원) | 5대 중점분야 |
1.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술 기반 구축(신규) | 7 | 4,000 | ① 생명자원 보전·활용 |
2. 신품종지역적응연구(신규내역포함) | 37 | 14,669 | |
3. 밀자급률 도약 생산소비연계 핵심기술 개발(신규) | 9 | 4,400 | ② 생산기술 혁신 |
4. 노지 스마트농업 활용 모델 개발(신규) | 3 | 3,750 | |
5. 현장 맞춤형 밭농업기계 고도화 | 5 | 2,740 | |
6. 농업빅데이터 수집 및 생산성 향상 모델 개발 | 4 | 677 | |
7. 농산부산물 Eco 순환기술 개발(신규) | 6 | 5,000 | ③ 식품·서비스 개발, |
8. 중점관리 병해충 선제대응 및 피해경감기술 실용화(신규) | 22 | 7,900 | ④ 기후변화, 질병·재해대응 |
9. 원예작물 수급안정을 위한 이상기상 대응 기술 고도화(신규) | 10 | 6,000 | |
10. 신농업기후변화 대응체계 구축 | 13 | 3,360 | |
1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농업분야 대응 강화 기술 | 2 | 385 | |
12. 농업 정책 지원 기술 개발 |
|
|
|
- 염소 신산업화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신규) | 4 | 2,600 | ⑤ 혁신생태계 조성 |
- 꿀벌 강건성 연구 | 4 | 1,470 | |
- 디지털기반 농촌공간 재생기술개발 | 3 | 454 | |
- 다자간 자유무역 협정대응 수출농업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 2 | 1,600 | |
계 | 131 | 59,005 |
|
□ 2025년 중점분야별 신규과제 주요 내용
① 생명자원 보전·활용
○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혁신 기술 기반 구축) 농생명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 공공서비스 개발 및 분양자원 뱅크 구축, AI기반 작물 스트레스 제어, 토양 양분 이용 효율, 한우, 자돈 등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개발 * 신규사업
- 예산: 총사업비 199.9억원(’25∼’28), ’25년 40억
- 과제 공모: 7과제 40억
* 농생명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 및 자원제공 서비스 구축 2과제, 작물·가축 생산성 향상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 개발 5과제
○ (신품종지역적응연구) 작목별(꿀벌, 벼, 콩, 두류, 마늘·양파, 포도 등) 안정 수급을 위한 신품종 지역적응 연구, 내수 및 수출 용도별 맞춤형 장립종 품종개발, 한국형 장립종 벼 안정생산 및 규모화 재배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