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정보 딸기, 겨울철 햇빛양 부족과 추위 대비 철저히
페이지 정보

본문
올겨울 햇빛양 부족과 추위로 딸기 생육이 더디고 꽃이 늦게 펴 상품성 있는 열매 수량이 줄 수 있다며 철저한 생육 관리를 강조했다.

<잎이나 꽃받침 끝이 타는 증상(팁번 현상)>
시설 온실에서 자라는 딸기는 수확시기 온도가 낮고 햇빛 부족이 지속되면 수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형 열매 발생이 늘어난다. 습한 환경에서는 꽃받침이 마르거나* 끝이 타는 장해**가 발생한다. 수정 벌 활동 능력도 떨어진다.
* 아래쪽 잎이나 꽃받침이 마르는 증상은 햇빛양 부족으로 온도가 낮고 습한 환경이 지속돼 딸기의 양분 흡수가 불균형할 때 발생
** 끝이 타는 팁번 현상은 저온으로 칼슘 흡수가 지연될 때, 낮은 야간 습도, 또는 높은 주간 습도로 인해 칼슘 전류가 억제될 때 발생
△벌 관리= 맑은 날 오전에 벌 출입량을 확인해 벌 출입량이 5분 동안 2마리 이하일 경우 벌통을 재구매하는 것이 좋다. 꿀벌을 구하기 어려울 때는 뒤영벌을 투입한다*. 다만, 온실에 꽃이 적은 12~1월은 뒤영벌 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기형 열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 딸기 시설온실 660㎡당 꿀벌은 7,500~10,000마리, 뒤영벌은 100~120마리 필요
** 1화방에서 2화방 교체 시기(12월 말~1월 말) 한낮에 뒤영벌의 온실 내 활동 수가 10마리 이상이면 벌통 입구를 하루는 열고 다음 날은 닫는 방법으로 조절
△온도, 습도 관리= 온실 환경을 알맞게 유지해야 꽃받침이 마르거나 타는 장해를 예방할 수 있다. 시설 온도는 낮에는 30도(℃) 이하, 밤에는 5도(℃) 이상으로 관리하고, 습도는 환기팬, 유동팬을 가동해 낮에는 50~60%, 밤에는 90∼100% 정도로 유지한다. 환기 때는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아침에 난방하면 온도를 높이고 습도를 낮추는 데 더 효율적이다. 흐린 날은 물양을 조절해 뿌리 쪽이 지나치게 습해지지 않도록 한다. 장기적으로는 기능성 강화 필름을 사용해 햇빛양을 늘리는 것이 좋다.
피해 유형
발생 원인과 증상
기술적 대응 방안
일조부족
기형과
<화분매개벌>
ㅇ 화분매개벌 활동 능력 감소
- 부적정한 벌 활동 환경
- 꽃 수 대비 낮은 방화활동
<환경관리>
ㅇ 시설 내 환경 관리 부적정
- 온도가 너무 낮을 때 생장 억제
- 암술과 수술 장해에 따른 불수정과 발생
ㅇ 화분매개벌 방화 활동 점검
- 맑은 날 오전∼한낮 벌 출입량 확인
- 활동이 없는 경우 벌통 재구매 또는 뒤영벌 추가 투입
※ 뒤영벌 과다방화 주의
ㅇ 시설 내 적정 환경 관리
- 낮 온도 21∼25℃, 밤 온도 5℃ 이상, 상대습도 60% 내외의 적정 환경
생리장해

<꽃받침마름증>
ㅇ 하엽(성엽), 꽃받침이 마르는 증상
-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작물의 불균형한 영양 흡수
-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칼륨 결핍
<팁번 현상>
ㅇ 신엽, 꽃받침 끝이 타는 증상
-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칼슘, 붕소 결핍
<정부연질과>
ㅇ 완숙 과일 끝부분이 물러지는 증상
- 저온 다습한 온실 내부 환경
- 과실에 햇빛이 잘 닿지 않는 조건
ㅇ 시설 내부 기상 환경 관리
- 환기팬, 유동팬 가동을 통한 적습 유지
- 환기 시 급격한 온도 변화 주의
- 조조가온을 통한 아침 온·습도 관리
- 기능성 강화 필름 사용(빛 투과율↑)
ㅇ 근권(토양, 배지) 환경 관리
- 급액량 조절을 통한 근권 수분 관리
- 급·배액 분석을 통한 적정 양분 관리
- 적정 EC‧pH 설정, 수시 점검
병해
<잿빛곰팡이병>
ㅇ 과실, 꽃받침 등 갈변, 부패
- 20℃ 전후 저온 다습 조건
- 밀식으로 통풍이 잘 안 되는 환경
- 꽃받침이 적색으로 되며 갈변
<꽃곰팡이병>
ㅇ 꽃 암술머리에 회색 곰팡이 발생, 흑변
- 저온, 다습, 그늘진 환경 조건
- 암술머리에 발생하여 기형과 발생
ㅇ 시설 내부, 근권 환경 관리
- 배지 수분 관리 철저, 흐린 날 관수 자제
-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차광·환기)
ㅇ 예방적 방제, 소독 철저
- 발병 잎, 과실 즉시 제거(전염원 차단)
- 병해충 방제력에 따른 예방적 방제
- 비 오기 전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