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지사항

기타정보 딸기, 겨울철 햇빛양 부족과 추위 대비 철저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5-02-16 16:09

본문

올겨울 햇빛양 부족과 추위로 딸기 생육이 더디고 꽃이 늦게 펴 상품성 있는 열매 수량이 줄 수 있다며 철저한 생육 관리를 강조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0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9pixel, 세로 244pixel

<잎이나 꽃받침 끝이 타는 증상(팁번 현상)>

 시설 온실에서 자라는 딸기는 수확시기 온도가 낮고 햇빛 부족이 지속되면 수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형 열매 발생이 늘어난다습한 환경에서는 꽃받침이 마르거나* 끝이 타는 장해**가 발생한다. 수정 벌 활동 능력도 떨어진다.

 아래쪽 잎이나 꽃받침이 마르는 증상은 햇빛양 부족으로 온도가 낮고 습한 환경이 지속돼 딸기의 양분 흡수가 불균형할 때 발생

** 끝이 타는 팁번 현상은 저온으로 칼슘 흡수가 지연될 때낮은 야간 습도또는 높은 주간 습도로 인해 칼슘 전류가 억제될 때 발생

 

 △벌 관리맑은 날 오전에 벌 출입량을 확인해 벌 출입량이 5분 동안 2마리 이하일 경우 벌통을 재구매하는 것이 좋다꿀벌을 구하기 어려울 때는 뒤영벌을 투입한다*. 다만온실에 꽃이 적은 12~1월은 뒤영벌 밀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기형 열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한다.

 딸기 시설온실 660㎡당 꿀벌은 7,500~10,000마리뒤영벌은 100~120마리 필요

** 1화방에서 2화방 교체 시기(12월 말~1월 말한낮에 뒤영벌의 온실 내 활동 수가 10마리 이상이면 벌통 입구를 하루는 열고 다음 날은 닫는 방법으로 조절

 

 △온도습도 관리온실 환경을 알맞게 유지해야 꽃받침이 마르거나 타는 장해를 예방할 수 있다시설 온도는 낮에는 30(이하밤에는 5() 이상으로 관리하고습도는 환기팬유동팬을 가동해 낮에는 50~60%, 밤에는 90100% 정도로 유지한다환기 때는 온도가 급격하게 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아침에 난방하면 온도를 높이고 습도를 낮추는 데 더 효율적이다. 흐린 날은 물양을 조절해 뿌리 쪽이 지나치게 습해지지 않도록 한다장기적으로는 기능성 강화 필름을 사용해 햇빛양을 늘리는 것이 좋다.


피해 유형

 

발생 원인과 증상

기술적 대응 방안

일조부족

기형과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기형과.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032pixel, 세로 3024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2년 03월 24일 오후 2:16 카메라 제조 업체 : samsung 카메라 모델 : SM-G973N 프로그램 이름 : G973NKSU7GULB F-스톱 : 2.4 노출 시간 : 1/333초 ISO 감도 : 50 색 대표 : sRGB 노출 모드 : 자동 35mm 초점 거리 : 26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가운데 중점 평균 측광 EXIF 버전 : 0220

 

<화분매개벌>

 화분매개벌 활동 능력 감소

 부적정한 벌 활동 환경

 꽃 수 대비 낮은 방화활동

<환경관리>

ㅇ 시설 내 환경 관리 부적정

 온도가 너무 낮을 때 생장 억제

 암술과 수술 장해에 따른 불수정과 발생

 화분매개벌 방화 활동 점검

 - 맑은 날 오전∼한낮 벌 출입량 확인

 - 활동이 없는 경우 벌통 재구매 또는 뒤영벌 추가 투입

   ※ 뒤영벌 과다방화 주의

 시설 내 적정 환경 관리

 낮 온도 2125밤 온도 5℃ 이상상대습도 60% 내외의 적정 환경

생리장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f0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49pixel, 세로 244pixel

 

<꽃받침마름증>

ㅇ 하엽(성엽), 꽃받침이 마르는 증상

 저온‧다습한 환경에서 작물의 불균형한 영양 흡수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칼륨 결핍

<팁번 현상>

 신엽꽃받침 끝이 타는 증상

 수분스트레스에 의한 칼슘붕소 결핍

<정부연질과>

 완숙 과일 끝부분이 물러지는 증상

 저온 다습한 온실 내부 환경

 과실에 햇빛이 잘 닿지 않는 조건

 시설 내부 기상 환경 관리

 환기팬유동팬 가동을 통한 적습 유지

 환기 시 급격한 온도 변화 주의

 조조가온을 통한 아침 온·습도 관리

 기능성 강화 필름 사용(빛 투과율↑)

 근권(토양배지환경 관리

 급액량 조절을 통한 근권 수분 관리

 급·배액 분석을 통한 적정 양분 관리

 적정 ECpH 설정수시 점검

병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잿빛곰팡이병(화탁).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893pixel, 세로 1419pixel 사진 찍은 날짜: 2024년 11월 19일 오후 5:00 카메라 제조 업체 : Apple 카메라 모델 : iPhone 13 프로그램 이름 : Windows Photo Editor 10.0.10011.16384 F-스톱 : 1.6 노출 시간 : 1/421초 ISO 감도 : 50 색 대표 : sRGB 35mm 초점 거리 : 34 프로그램 노출 : 자동 제어 모드 측광 모드 : 스팟 측광 플래시 모드 : 플래시 끔

 

<잿빛곰팡이병>

 과실꽃받침 등 갈변부패

 - 20℃ 전후 저온 다습 조건

 밀식으로 통풍이 잘 안 되는 환경

 꽃받침이 적색으로 되며 갈변

<꽃곰팡이병>

 꽃 암술머리에 회색 곰팡이 발생흑변

 저온다습그늘진 환경 조건

 암술머리에 발생하여 기형과 발생

 시설 내부근권 환경 관리

 배지 수분 관리 철저흐린 날 관수 자제

 적정 온도와 습도 유지(차광·환기)

 예방적 방제소독 철저

 발병 잎과실 즉시 제거(전염원 차단)

 병해충 방제력에 따른 예방적 방제

 비 오기 전후

  • 주소복사
  • 페이스북으로 공유
  • 트위터로  공유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게시물 검색
Total 74건 1 페이지
공지사항 목록
번호 제목 조회 날짜
74 기타정보 15 02-16
73 기타정보 14 02-16
72 기타정보 9 02-16
71 기타정보 11 02-16
열람중 기타정보 4 02-16
69 기타정보 4 02-16
68 기타정보 5 02-16
67 기타정보 4 02-16
66 기타정보 4 02-16
65 기타정보 5 02-16
64 기타정보 4 02-16
63 기타정보 4 02-16
62 기타정보 2 02-16
61 기타정보 3 02-16
60 기타정보 3 02-16

검색

꿀벌은 작지만 인류를 바꾸는 큰힘, 따뜻한 당산의 이야기가 담비키퍼를 통해 변화해 보세요.
담비키퍼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천변좌로 108번길 7 4층 273-04-02507 대표 김찬식 개인정보보호책임자 김찬식 이메일 a@dkbee.com
copyright (c) 2025 양봉.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