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정보 '등검은말벌' 봄철 전국 동시 방제해야 효과 커
페이지 정보

본문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등검은말벌로 인한 꿀벌 피해를 줄이기 위해 월동한 등검은말벌 여왕벌이 활동하는 3월 하순부터 5월까지 등검은말벌 방제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등검은말벌은 2003년 처음 발견된 외래 해충으로 2010년 생태계교란종으로 지정됐다. 최근 농촌진흥청 양봉과가 말벌 집중 피해 시기인 9~10월까지 북부·중부·남부 9개 지역에서 말벌류 덫을 조사한 결과, 충북 청주, 강원 횡성 등 중북부 지역에서 피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등검은말벌 여왕벌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가 앞당겨지는 등 등검은말벌 최적 활동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활동 기간이 길어져 피해가 늘고 있다.
등검은말벌 여왕벌은 월동 후 첫 일벌을 낳기 전까지 단독으로 활동하는 특성이 있다. 이 시기 여왕벌을 잡으면 가을철 최소 500마리 이상의 일벌과 벌집을 제거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봄철 여왕벌은 주로 양봉장 인근 야산에서 서식하므로 유인 덫(트랩)을 양봉장 주변과 인근 야산에 설치하고 주기적으로 유인제를 보충해 관리하면 효과적이다. 유인 덫은 농자재 판매업체에서 구매하거나 페트병으로 만들어 사용하면 된다.
1. 등검은말벌 연중 발생 양상 및 양봉장 출현 시기
○ 등검은말벌 여왕벌 봄철 발생시기 예측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여왕벌출현시기는 국토 전지역에서 3월 중·하순으로 예측됨
* (완주기준) 기준온도 0℃에서 15℃까지 0.1℃간격으로 적산온도 200도일에서 발생시작(3월 하순)하여 600도일(5월 말)에서 발생 종료
2. 페트병을 이용한 간이트랩 제작 방법
![]() |
3. 유인제 제조
<위 그림은 Chat GPT로 만들어진 그림입니다.>
① 꿀벌 벌통의 오래된 벌집을 물에 넣고 끊임(물과 벌집은 1:1 부피)
② 벌집틀을 제거함 ③ 밀랍이 완전히 굳을 때까지 식힘 ④ 굳은 밀랍 제거
⑤ 남은 벌집용액과 설탕물(50%) 및 벌꿀, 막걸리(벌집용액:설탕물:막걸리=50:20:30)를 섞음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