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정보 채밀용 벌무리 "아까시꽃 개화 40일 전인 지금부터 양성"
페이지 정보

본문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4월 말 아까시꿀 채밀을 원활하게 하려면, 개화 40일 전부터 채밀용 벌무리를 집중적으로 양성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아까시꿀은 국내 양봉농가의 주요 수입원이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 집중 강우 등으로 아까시꽃 개화 불안정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해 국내 아까시꿀 생산량이 불안정한 실정*이다.
*천연꿀 생산량(천톤): (’17)11.2→(’18)5.4→(’19)79.1→(’20)10.4→(’21)25 (양봉산업 실태조사, ’21)
아까시꽃은 5월 초 남부 지역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핀다고 알려져 있으나, 농촌진흥청 개화 예측 모형(모델)*에 따르면, 올해는 광주광역시 4월 22일, 경북 포항 4월 26일, 전북 전주 4월 28일경 꽃이 핀다. 개화 시기가 4월 말로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양봉농가의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주요 밀원 개화기 예측 이용 벌꿀 생산 최적 모델 개발(국립농업과학원, ’23~’26)
꿀벌은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21일이 걸리며, 성충이 된 후 18일이 지나야 본격적으로 꿀을 채집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하면 아까시꽃 개화 40일 전인 4월 초 산란한 일벌이 채밀기에 효율적으로 채밀할 수 있도록 채밀용 벌무리 양성을 철저히 해야 한다.
채밀량을 극대화하려면 산란력이 우수하고 세력이 강한 벌무리를 선발해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한다.
붙임 |
| 유밀기 꿀벌 벌무리 집중 관리기술 |
1. 꿀벌의 유밀기
① (유밀기) 꿀벌이 꿀샘식물에서 꽃꿀을 채집할 수 있는 시기(5~7월)
- 5월 자운영, 아까시꽃이 피기 시작하여 꿀이 생산되는 시기
- 6월 하순부터 7월에 걸쳐 밤나무, 피나무 등의 벌꿀 생산 집중
② (증식기) 유밀기는 먹이자원이 풍부하여 벌무리에서 분봉이 발생하기 쉬움
- 벌무리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벌통 내부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분봉열* 발생 가능
* 분봉열: 분봉이 발생하기 직전의 상황으로 왕대(여왕벌방)를 만들며, 수벌이 많고 일벌이 바깥일을 하지 않는 현상
2. 2025년도 아까시꽃 작황 예측
![]() | ![]() |
| ||||||||||||||||||||||||||||||
아까시꽃 개화 예측 모델 활용 2025년 지역별 개화 시기 예측 |
① 이동양봉정보제공 시스템 활용 이동양봉농가 및 실시간 개화정보 확인
- 지역별 꿀샘식물 정보 및 개화 정보 확인
- 이동양봉농가 정보 공유를 통한 아까시꿀 채밀 효율 증대
* 시스템 개발(’23) 및 현장 실증(’24 )
② 아까시꽃 개화 예측 모델 활용 지역별 개화 시기 예측
- 지역별 및 지점별 꿀샘식물 정보 및 개화 정보 예측
- 광주광역시, 전주시, 포항시 양봉농가 주변 아까시꽃 개화 4월 말 예측
- 아까시꽃 개화 기간은 개화부터 낙화까지 약 13±1일로 예상됨
* 예측 데이터는 모델 기반 추정값으로 실제 개화일과 상이할 수 있음
3. 유밀기 벌무리 사양관리기술
○ 아까시꿀 채밀용 벌통 관리
| 벌무리 관리 |
|